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파트 단지 내 상가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청약률이 높았던 서울 강남의 아파트 단지도 상가는 텅 비었는데요. <br> <br>아예, 상가 없는 아파트를 짓자는 움직임까지 나옵니다. <br> <br>경제카메라 임종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1만 채에 육박하는 서울 송파구의 초대형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> <br>지하철 역세권에 인근 학교도 6곳에 달해 1순위 청약에만 4만 명이 넘게 몰렸던 곳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상가 상황은 정반대입니다. <br> <br>지하 1층에선 지하철과도 바로 연결돼 '초역세권' 상권인데요. <br> <br>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상가 곳곳이 비어 있습니다. <br> <br>지하 1층만 공실이 스무 곳이 넘습니다.<br> <br>7년째 공실이 이어지고 있는데, 서울의 다른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. <br><br>지난해 6월부터 입주했지만 상가는 공실이 절반이 넘습니다. <br> <br>아파트 상가 공실이 는 것은 신축 대단지 상권이란 이유로 주변 일반 상가들보다 임대료는 높지만 수익성은 갈수록 하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A씨 / 송파구 가락동 공인중개사] <br>"임대료가 안 맞아. 부가세 포함하면 (월세가) 한 300 이거든요. 무인 커피도 해보고 별짓 다 해봤는데 안 돼." <br><br>코로나 이후 온라인 쇼핑과 배달주문 같은 비대면 소비가 확산되면서 아파트 상가를 찾는 주민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.<br> <br>[B씨 / 동대문구 아파트 주민] <br>"물건은 온라인으로 사는 거 같네요, 80% 정도?" <br> <br>온라인 주문의 영향을 덜 받는 커피숍이나 네일숍 같은 미용 관련 시설만 겨우 버틸 정도입니다. <br> <br>[C씨 / 송파구 아파트 상가 상인] <br>"지금 그러니까 다 혼자 해요 거의. 직원있는 곳이 없어. 다 혼자 하니까 버티는 거야." <br><br>상가 공실률이 높아지다보니 서울 강남 재건축 단지들조차 수익을 낮추더라도 상가 통매각을 시도하고 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침체한 상가 시장에 입찰자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이렇다보니 재건축 조합에선 상가가 없는 아파트를 추진하기도 합니다. <br><br>상가 소유주들도 수익성이 떨어지다보니 동의합니다. <br> <br>[이은형 /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] <br>"(상가가) 팔리지 않을 거라고 생각을 한다면은 그 상가로 책정된 부분의 용적률을 빼서 다른 시설을 만드는 데 쓰는 게 적절하지 않느냐 이런 생각도 충분히 할 수가 있죠." <br> <br>한때 안정적인 수익률 덕에 '로또'에 비유됐던 아파트 상가였지만, 온라인 유통의 득세 속에 공실이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제카메라 임종민입니다. <br> <br>연출 : 박희웅, 이유니 <br>구성 : 강전호<br /><br /><br />임종민 기자 forest13@ichannela.com